사도바울로 5

“의지의 쇠사슬과 습관의 폭력”_2024.6.16. 나해_연중11주일 설교문

2024.6.16. 나해_연중11주일사무상 15:34-16:13 / 시편 20 / 2고린 5:6-10(11-13)14-17 / 마르 4:26-34  “의지의 쇠사슬과 습관의 폭력”  채야고보 신부 / 대한성공회 제주우정교회, Artist “그러나 육체에 머물러 있는 동안에는 우리가 주님에게서 멀리 떠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2 고린 5:6 이 말씀은 무엇을 뜻합니까? 사도 바울로는 그리스 사상에 빠져 있는 고린토 교인들을 위해 속사람과 겉사람을 구분하여 이분법적으로 희망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이 육신의 장막은 영적인 것으로 나아가기에 너무 제한적입니다. 그래서 겉사람은 “무거운 짐에 짓눌려 신음”하고, 또 주님으로부터 멀리 분리되어 영적인 소외를 경험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플라톤의 영..

글모음/설교문 2024.06.16

“나는 믿었다. 그러므로 나는 말하였다.”_2024.6.9. 나해_연중10주일

2024.6.9. 나해_연중10주일사무상 8:4-11, 16-20 / 시편 138 / 2고린 4:13-5:1 / 마르 3:20-35  “나는 믿었다. 그러므로 나는 말하였다.”  채야고보 신부 / 대한성공회 제주우정교회, Artist “나는 믿었다. 그러므로 나는 말하였다.” 2 고린 4:13 사도 바울로는 시편 116편 10절을 인용하여 사도로서의 자신의 사명과 역할을 분명하게 말하고 있습니다. 이 말에서 우리는 그가 무엇을 믿었고 또 무엇을 말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것은 사도로서의 그의 사명의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그가 믿었던 것은 역사의 예수가 아니라, 예수의 죽음과 부활에 대한 믿음이었고, 그가 증언한 것은 이러한 믿음을 이방인의 사도로서 이방인들에게 선포한 것입니다. 그는 고린토인들..

글모음/설교문 2024.06.09

“우리는 이 가을에 정말 사랑할 수 있을까요?”

2023. 10. 29. 가해_연중30주일 신명 34:1-12 / 시편 90:1-6, 13-17 / 1데살 2:1-8 / 마태 22:34-46 “우리는 이 가을에 정말 사랑할 수 있을까요?” 채야고보 신부 / 대한성공회 제주우정교회, Artist C.S. 루이스는 [고통의 문제]라는 책의 집필을 의뢰받았을 때 처음에 이를 거절했다고 합니다. 이유는 고통에 대해 자신이 하는 말과 고통을 대하는 자신의 참된 모습 사이에서 발생하는 괴리 때문이라고 말입니다. 말과 실제 인격 사이에는 너무 큰 간극이 존재하게 마련입니다. 저 또한 사실 설교를 할 때마다 매우 부담스러운 부분이 이 부분입니다. 선포하는 케리그마와 실제 저의 인격의 괴리가 너무 커서 부끄러운 마음이 앞섭니다. 그럴 때마다 제 스스로를 자위하는 것은..

글모음/설교문 2023.10.29

“모험의 상실 시대”

2023. 6. 11. 가해_연중10주일 창세 12:1-9 / 시편 33:1-12 / 로마 4:13-25 / 마태 9:9-13, 18-26 “모험의 상실 시대” 채야고보 신부 / 대한성공회 제주우정교회, Artist 많은 분들이 마크 트웨인의 소설 “톰소여의 모험”과 “허클베리 핀의 모험”을 읽어 보셨을 겁니다. 지금은 내용이 좀 아득하지만 어린 시절 우리에게 꿈과 모험을 자극했던 소설인 것만은 분명했던 것 같습니다. 마치 로드무비처럼 주인공의 성장 과정을 보면서 우리는 대리만족과 같은 공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다 보면 우리 안에 잠재된, 우리 유전자 깊은 곳에 내재된 모험심이 불쑥 우리 안에서 솟구침을 느낍니다. 권선징악이란 뻔한 틀의 이 성장 소설이 고전이 된 것은 바로 인간 내면의 있는 이러한 모..

글모음/설교문 2023.06.11

“다시 태어남에 대해”

2023. 3.5. 가해_사순2주일 창세 12:1-4상 / 시편 121 / 로마 4:1-5, 13-17 / 요한 3:1-17 “다시 태어남에 대해” 채야고보 신부 / 대한성공회 제주우정교회, Artist “사람은 하느님께 참여할 때 비로소 참으로 사람이 된다.” 알프레드 델프 유대계 독일출신의 예수회 사제 알프레드 델프(Alfred Delp, 1907~1945)는 나치에 대항하면서 국가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인간의 존엄을 짓밟는지를 깊이 체험한 사람입니다. 세상의 어떠한 권력도, 세상의 어떠한 안락도 인간의 존엄을 짓밟으며 정당화될 수는 없음을 그는 주장했습니다. 인간의 존엄이 무너지면 인간은 한갓 동물과 같은 사람에 불과합니다. 그 본성에 내재된 모든 것이 야만적입니다. 파시즘은 이러한 내면을 가장 적나..

글모음/설교문 2023.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