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모음 340

페미니즘은 21세기의 새로운 유토피아적 비전이 될 수 있는가?

[독후감] 거다 러너의‘왜 여성사인가' (강정하 옮김, 푸른역사, 2006, 서울) 를 읽고 페미니즘은 21 세기의 새로운 유토피아적 비전이 될 수 있는가? 채 야고보 인종차별주의, 성차별주의와 같은 계서제의 이데올로기들을 종식시키지 않고서는 인류의 미래를 기대할 수 없다. 계몽주의 이후 20세기까지 남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온 사회적 혁명과 변혁은 철저하게 폭력적으로 결말이 났다. 제국주의와 군국주의, 공산혁명과 테러리즘에 이르기까지 폭력적인 혁명적 전복은 또 다른 폭력을 낳았고, 이러한 전복에 의해 창출된 새로운 권력은 또 다른 사회적 폭력을 형성하며 ‘차이’에 의한 차별을 만드는데 기여했다. “폭력적인 전복”이 사회의 희망이었던 20세기는 우리 인류에게 커다란 상처를 남기며 이제 과거 속으로 물러갔다..

신비주의와 숭고미_현대미술과 기독교 미학의 접점

*이 글에 실린 도판은 책에서 직접 찍은 것이라 도판 사진의 상태가 좋지 않음을 미리 밝힙니다. 신비주의와 숭고미 현대미술과 기독교 미학의 접점 채 야고보 “아무도 아버지의 말씀을 묘사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오 테오토코스여, 그가 당신으로부터 육체를 취하셨을 때 그는 자신에 대해 묘사하는 것을 허락하셨습니다 그리고 타락된 형상을 신적 아름다움과 연합함으로써 이전의 상태로 회복시키셨습니다 우리는 말과 성상으로 우리의 구원을 고백하고 선포합니다.” (동방정교회 정교주일의 시기송 중에서)[1] [들어가는 말] 곰브리치는 그의 책 ‘서양미술사’에서 원시시대 동굴벽화의 주술적 기능을 설명하면서 독자들에게 재미있는 물음을 던진다.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의 사진 속 얼굴(특히 눈)을 바늘로 찌를 수 있는가? 이 질문..

[독서]건축 공간과 사회의 상대성 원리_최윤경의 '사회와 건축공간' p.p.10~35

[요약] 제1장 “건축과 공간 그리고 사회”, [최윤경,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서울, p.p.10~35] 건축 공간과 사회의 상대성 원리 채 야고보 건축에 있어서 공간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근대 건축의 출발과 관계가 있다고 저자는 설명한다. 다양한 공간에 대한 논쟁들 대부분이 개인적이며 “선언적 주장”의 한계에 머물러 “객관적인 차원”에서의 논의가 부족하여 결국 공간의 개념을 더욱 모호하게 한다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라스던은 공간이 “건축의 본질”이며 “궁극적 목적”이라고 했으나 “여전히 공간은 건축의 가장 난해한 측면의 하나”라고 애매모호한 주장을 하기도 했다. 결국 이러한 혼란은 공간에 대한 “정의와 구체적인 의미에 대한 공유되어질 수 있는 전제가 부재”하..

Places for the Word [Church Architecture] by James F. White and Susan J. White,

James F. White and Susan J. White, Church Architecture (p.p.25~32 / translated from English by James Chae) 96 800x600 Normal 0 false false false EN-US JA X-NONE 말씀을 위한 장소 (Places for the Word) 말씀의 예배에는 여러 가지 특정한 장소와 공간이 필요한데 여기서는 가장 중요한 세가지 만 언급한다. 그것은 설교단, 집전자 석,..

상생과 평화로 가는 길_“한” 사상의 묘합(妙合)의 원리로 본 이원론적 세계관의 극복

상생과 평화로 가는 길 “한” 사상의 묘합(妙合)의 원리로 본 이원론적 세계관의 극복 채 야고보 [숨 고르기] “나는 현대 물리학에 의하여 암시되고 있는 세계관이 현재의 우리 사회와는 일치하지 못하고 있다고 믿는다. 오늘의 우리 사회는 우리가 자연에서 관찰하는 조화로운 상호 관..